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9)
아스퍼거증후군 자폐 차이, 걸음걸이로 구분 되나요? 사람은 걸을 때도 그 사람만의 특징이 있어요. 그래서 어떤 행동 패턴이나 자세를 통해 신경 발달의 차이를 짐작하는 연구들이 많아요. 그렇다고 해서 걸음걸이만으로 아스퍼거증후군과 자폐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어요. 일부 연구에서는 아스퍼거증후군이나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가진 사람들의 보행 패턴이 일반인과 다르다고 말해요. 예를 들어, 보폭이 좁거나 균형을 잡는 방식이 다소 불안정할 수 있다고 해요. 하지만 이런 보행 특성은 아주 미세하고 개인차도 커서 진단 기준으로 쓰이진 않아요. 즉, 걸음걸이만으로 구별하려는 건 매우 제한적이에요. 어떤 때는 비슷한 보행을 보이지만 전혀 다른 성향을 가진 사람일 수도 있으니까요.아스퍼거증후군과 자폐의 근본적인 차이두 증상 모두 자폐스펙트럼장애(A..
아이 범보의자 사용시기와 혼자 앉는 시기 정리 아이를 키우다 보면 처음 들어보는 육아용품이 많아요. 그중에 하나가 바로 범보의자예요. 이건 말 그대로 아이가 앉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돕는 도구인데요, 일종의 반고정형 의자라고 보면 돼요. 말랑한 우레탄 재질로 되어 있어서 부드럽고, 아이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디자인되어 있어요. 앉는 능력이 부족한 아기들도 어느 정도 목만 가누기 시작하면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거라서, 막연히 '앉히면 안 되나?' 싶었던 부모님들에게는 꽤 유용해 보이죠. 그런데 이 범보의자, 과연 언제부터 앉혀도 괜찮은 걸까요? 또, 아이가 혼자 앉는 시기랑 범보의자 사용 시기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조금 더 깊이 알아볼게요.범보의자 사용 시기범보의자는 보통 생후 3개월에서 5개월 사이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단, 이건 어디까지나..
이른둥이와 미숙아, 같은 말일까? 다른 말일까? 신생아를 키우는 부모들이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이른둥이’와 ‘미숙아’예요. 두 단어 모두 아기가 너무 일찍 태어났다는 걸 뜻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조금 다르게 쓰이고 있어요. 병원에서는 의학적인 기준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고, 일상에서는 감정적인 표현으로 다가올 때도 있죠. 그래서 오늘은 이른둥이와 미숙아의 차이에 대해 정확하게 정리해볼게요. 애매하게 알고 있던 부분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확실히 정리하고 넘어가요.이른둥이란? 따뜻한 표현 속에 담긴 의미‘이른둥이’는 정해진 시기보다 일찍 태어난 아기를 뜻해요. 정확히 말하면,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이들을 가리키는 말이죠. 병원에서도 사용하긴 하지만, 주로 부모나 보호자들이 조금 더 부드러운 느낌으로 사용하는 단어예요.'우리 아기는..

반응형